가을, 아무리 남자의 계절이라도 너무 외로우면 ‘병’
가을, 아무리 남자의 계절이라도 너무 외로우면 ‘병’
  • 이보람 기자 (boram@k-health.com)
  • 승인 2015.10.27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쌀쌀한 날씨와 날로 높아지는 하늘 탓에 가을은 흔히 남자의 계절로 일컬어진다.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단시간 감정이 변화하는 계절성 우울감도 있지만 이 같은 상태가 장기화 되면 질병의 하나인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가 이달 초 발표한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는 올해 최초로 우울장애유병률 결과가 첨부됐는데 조사결과를 보면 만 19세 이상 국민의 우울장애유병률은 6.6%이며 이 중 18.2% 정도가 정신문제에 대한 상담 또는 치료 경험이 있었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인 ‘고독’에는 심각한 염세적 경향이나 자기파괴적 욕구가 배제되며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정도의 무기력감이 동반되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우울증에는 이 같은 부정적인 요소들이 뒤따라 문제다. 특히 식욕저하, 수면장애, 불안, 성욕 및 집중력 저하는 대표적인 우울증의 증세다.

​우울증은 이 밖에도 다양한 양태를 보이기 때문에 자의적인 해석 및 대처는 금물이다. 사례자와 같이 매일 돌아오는 업무나 일과에는 문제를 느끼지 않지만 전반적으로 감정이 건조화 되면서 대인을 기피하게 되는 증세도 우울증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우울증 그 자체로도 삶의 질을 떨어트리며 사회적 관계망을 훼손하지만, 극단적으로 발전했을 때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의를 요한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기경 과장은 “일반적으로 남성이 사회적 압박에 노출되는 경향이 더욱 크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에서 남성 우울증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사회적인 위치나 남들의 시선을 의식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아 더욱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남성의 가을 우울감, 심각하다면 질병

우울증은 다양한 원인에 따라 발생하고 그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양태도 매우 폭넓다. 이에 정신과에서는 약물치료와 함께 정신치료나 인지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을 도입해 환자의 사태를 개선하고자 한다.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전조질환은 선제적으로 대응해 치료하는 것이 좋다.

​특히 알코올중독증이나 수면장애 등 연관성이 높은 질환은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개선해야 한다. 명상 등의 방법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하고 지나치게 고조돼 있는 긴장감이나 심리적 압박 요소가 있다면 이 또한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남성의 경우 개인이 짊어질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는 책임감이나 의무감이 있지는 않은지, 타인의 기준과 잣대에서 자아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지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배우자의 육아나 출산 등으로 인해 우울증을 앓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변에 급격한 변화가 있은 후 감정적으로 이상이 느껴진다면 전문가를 찾아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이기경 과장은 “남성들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에 위해한 요소에 자주 맞닥뜨리는 우리 사회의 상황에서 우울감과 단순 고독감을 분리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단순히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한 고독감이라 할 지라도 그 기회를 말미암아 자신의 생활에 있어 정신건강을 해치는 요소가 있지 않은지, 본인의 정신건강이 충분히 안정적인 상황인지 헤아려 보는 것도 좋겠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