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푸·린스에 쓰이는 향료, 향 알레르기 유발 위험수준”
“샴푸·린스에 쓰이는 향료, 향 알레르기 유발 위험수준”
  • 한기영 기자 (iam-1710@k-health.com)
  • 승인 2016.09.12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보건복지위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환경정의’ 및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과 함께 시중에 판매되는 생활화학제품(샴푸, 린스, 섬유유연제, 섬유세제) 55개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바에 따르면 1개 제품당 평균 8종의 향 향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사용됐다. 최대 15종의 향 알레르기 유발성분제품도 판매했다.

EU는 지침을 만들어 향 알레르기 유발성분을 규제하고 있다. 규제대상 26종의 성분 중 천연성분 2종을 제외한 24종의 경우 세정(rinse-off)제품은 100ppm 초과, 잔류성(leave on)제품은 10ppm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분을 표기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린스와 샴푸는 식약처 소관 화장품법에 의해 알레르기 유발 착향제가 100ppm 이상 사용될 경우 해당성분의 명칭표기를 권장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섬유세제 등의 경우는 환경부 소관 화평법(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관리되지만 향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한 표기규제는 없는 실정이다.

EU의 기준을 준용할 경우, 이번에 조사한 조사대상 55개 제품 중 82%인 45개 제품에서 향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100ppm을 초과된 것으로 분석되어 규제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생활제품에 사용된 향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1,000ppm 이상인 경우도 55개 제품 중 절반인 27개(49%)이나 됐다. 제품별로 특정성분이 1,000ppm 이상 함유된 경우도 13개(24%)였다.

55개 제품 중 바디워시를 제외한 54개를 4개의 제품군(샴푸, 린스, 섬유세제, 섬유유연제)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각 제품군에서 검출된 향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누적검출률(한 제품에 여러 개의 향 알러젠이 사용된 경우를 포함)은 린스(866.7%), 샴푸(842.9%), 섬유유연제(806.3%), 섬유세제(693.3%) 순이었다. 린스, 샴푸 등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개인위생용품이 세탁용품보다 더 많은 향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김상희 의원은“우리나라 국민의 피부 민감도가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등 다른 나라 국민들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국내실정에 맞게 개별 향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규제를 시행하여 소비자 안정을 보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제도 개선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