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에 많은 이소플라본?…“콩도 콩 나름”
콩에 많은 이소플라본?…“콩도 콩 나름”
  • 헬스경향 한동하 한의학박사(한동하한의원 원장)
  • 승인 2017.03.21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손꼽힌다. 특히 콩에는 이소플라본이라는 성분이 많아 중년기여성에게 더없이 중요한 곡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소플라본함량은 콩 종류에 따라 하늘과 땅 차이다.

무엇보다 콩의 가장 큰 장점은 단백질성분 중 하나인 이소플라본이 풍부하다는 것이다. 이소플라본은 항산화작용과 심혈관질환, 대사증후군,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가임기여성의 생리불순이나 중년여성의 갱년기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식물성 에스트로겐(식물성 여성호르몬)이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모든 콩에 이소플라본이 많은 것은 아니다.

한동하 한의학박사(한동하한의원 원장)

미국농무부(USDA)의 ‘USDA Database for the Isoflavone Content of Selected Foods(Release 2.0)’를 살펴보니 콩 중에서도 이소플라본이 많은 콩은 대두(soybean)뿐이었다.

대두 100g 기준으로 살펴보면 세계적으로 산지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나는데 미국산은 159.98mg, 중국산은 118.28mg, 일본산은 130.65mg이었다. 국내산 대두는 178.81mg으로 가장 높았다. 전 세계 평균은 154.53mg이었다.

또 국내논문과 기타자료를 함께 참고하면 콩가루(178.10mg), 콩나물(40.71mg), 유부(61.6mg), 두부(72.7mg), 연두부(89.5mg), 순두부(68.5mg), 청국장(104.5mg), 된장(81.97mg), 나또(82.29mg), 미소(41.45mg), 두유(12.34mg) 등에도 충분한 양이 함유돼 있었다. 함량은 논문마다 약간 차이는 있지만 공통점은 모두 대두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소플라본은 대두 이외의 콩에는 거의 함유돼 있지 않았다. 팥(0.59mg), 검은콩(black beans, 0.01mg), 강낭콩(0.02mg), 네이비빈(0.21mg), 핀토콩(0.18mg), 누에콩(0.63mg), 병아리콩(0.38mg), 렌틸콩(0.06mg), 녹두(0.09mg) 등에는 1mg 이하로 함유됐을 뿐이다.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한 함량이다.

이상한 점은 미국농림부자료에서 검은콩에는 100g당 0.01mg밖에 없다고 했지만 국내연구결과에서는 수종의 검은콩(흑태, 서리태 등)에 30.9~114.5mg, 쥐눈이콩에는 18.08~610.94mg 정도가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알고 보니 미국자료에서 참고한 검은콩(Phaseolus vulgaris)은 라틴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의 검은콩과는 서로 다른 종이다. 네이비빈, 강낭콩, 핀토콩 등이 모두 이 종에 속한다.

반면 국내의 검은콩은 대두의 한 종류로 흑태와 서리태는 대두(Glycine max Merr.)와 학명이 같다.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은 학명은 다르지만 이들 모두 검은색인 ‘흑대두’의 한 종류로 여겨지고 있다. 한마디로 국내산 검은콩은 된장이나 간장을 만들 수 있는 콩이다.

만일 이소플라본을 섭취할 의도로 콩을 선택했다면 대두나 국내산 검은콩이 아니면 의미가 없다. 이소플라본의 하루 권장섭취량은 40~50mg/day 정도다. 이 정도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삶은 대두 25g이나 일반두부 100g 정도를 먹으면 된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콩가루겠지만 다양한 방법의 대두(콩)요리는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

콩은 한자로 두(豆)라고도 하고 태(太)라고도 한다. 귀중하면서도 식량으로서의 가치가 크다는 의미다. 또 숙(菽)자도 콩을 의미한다. “이런 숙맥같은 놈 같으니” 할 때 숙맥(菽麥)이 바로 콩과 보리를 놓고도 구별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의미한다. 불변숙맥(不辨菽麥)의 준말이다.

만일 이소플라본을 섭취한다고 이 콩 저 콩 모두 열심히 먹었던 사람에게는 이 속담이 어울릴지도 모른다. 바로 ‘숙맥이 상팔자’다. 콩인지 보리인지 구별 못하는 것이 어쩌면 속 편하고 팔자가 좋다는 의미다. 하지만 앞으로는 숙맥의 경우 몸이 그렇게 편하지는 않을 것이다. 숙맥불편(菽麥不便)은 되지 말아야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