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 대사항암제로 암 완치에 도전한다”
“4세대 대사항암제로 암 완치에 도전한다”
  • 유대형 기자 (ubig23@k-health.com)
  • 승인 2017.12.14 09: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김홍렬 하임바이오 대표

“치료제가 너무 비싸 제대로 암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세상에는 너무 많습니다. ‘어려운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 우리 회사의 이념이자 지향점입니다. 모든 사람이 암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국내사망률 1위, 암 치료를 위한 항암제시장은 연간 90조원에 이른다. 항암제 개발에 수많은 기업이 도전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출시된 치료제는 대부분 완치가 불가능해 많은 환자가 절망에 빠져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이오벤처기업 하임바이오의 암세포만 굶겨 죽이는 4세대 대사항암제가 많은 암환자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임바이오의 김홍렬 대표는 “암 치료제의 비싼 가격 때문에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며 “모든 사람이 암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치료제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4세대 대사항암치료제는 현재 미국 MD앤더슨 암센터, 하버드대병원 등이 개발 중이다. 하지만 국내기업인 하임바이오가 다른 기업보다 약 5년 빨리 기술을 개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임바이오 김홍렬 대표는 “암의 대사조절을 이용한 우리 회사의 대사항암치료기술은 표준 치료제로 등재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우리나라는 세계최초로 암 치료제 원천기술보유국이 된다”고 밝혔다.

암 치료제는 크게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나뉜다. 1세대 화학항암제는 암세포를 죽이지만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며 2세대 표적항암제는 암세포에만 작용하지만 내성이 생겨 문제였다. 또 3세대 면역항암제는 면역기능을 개선해 치료하지만 개인별 편차가 크고 면역계가 지나치게 반응해 정상세포까지 공격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4세대 대사항암제는 암세포만 굶겨 죽이고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을 치료한다. 특히 난치성재발암을 예방하고 암세포대사를 막아 3세대 면역항암제보다 넓은 범위의 암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하임바이오에서 개발 중인 대사항암제 ‘NYH817100'은 세포에너지공장으로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의 작동경로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지금까지는 암세포가 어떤 경로로 에너지를 얻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국립암센터의 김수열 박사가 역발상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김홍렬 대표는 “김수열 박사가 발견한 단일성분이 암세포의 에너지합성을 낮춰 성장하지 못하고 죽는다는 것을 밝혀냈다”며 “또 수년전 미국에서 당뇨병환자가 암에 걸릴 확률이 낮다는 연구를 보고 당뇨병치료제로 사용되던 약을 병용하면 정상세포에는 문제없이 암세포에만 80~90%까지 에너지공급을 차단하는 효과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하임바이오의 성장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세븐스톡 송영봉 대표는 김홍렬 대표와 손잡고 항암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하임바이오는 국립암센터 김수열 박사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재호 교수·강석구 교수가 공동개발한 폐암·위암·뇌종양 항암제기술을 이전받아 비임상시험에 들어갔다. 올해는 국립암센터 췌장암치료제 개발팀의 암대사조절 항암제기술까지 이전받았다.

이러한 하임바이오의 성장가능성과 기술력을 높게 평가한 컨설팅그룹 세븐스톡이 하임바이오와 손잡고 항암제개발을 돕고 있으며 엔젤투자자로부터 30억원을 유치하기도 했다.

김홍렬 대표는 “현재 비임상동물실험에서 암치료율이 완치에 이를 정도로 뛰어난 약효를 보이고 있으며 몇 년 안에 세계최초로 4세대 암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며 “뇌종양 등 치료제가 없는 희귀암은 임상 1상에서 좋은 성과가 나오면 임상 2상 시작과 동시에 시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임바이오는 2019년 상반기까지 국립암센터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과 함께 임상 1상을 끝내고 2019년 8월경에 뇌종양, 위암, 췌장암으로 임상 2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늦어도 2020년 이전에는 시판을 계획하고 있다.

김홍렬 대표는 “좋은 기술을 개발해도 정부차원에서 보호해주거나 지원해주는 정책이 없다”며 “이처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들을 위해 활성화제도와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