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검진 연계 C형간염검사, 별도 검진체계보다 비용은 ‘다운’ 효과는 ‘업’
국가검진 연계 C형간염검사, 별도 검진체계보다 비용은 ‘다운’ 효과는 ‘업’
  • 장인선 (insun@k-health.com)
  • 승인 2018.10.17 2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간학회, 제19회 간의 날 맞아 “국가검진 연계형 C형간염검사 도입 필요성 역설”
대한간학회 김대곤 회장(전북의대 내과)은 제19회 간의 날 기념식 및 토론회에서 C형간염검사 국가검진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향후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 대해서도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간학회 김대곤 회장(전북의대 내과)은 제19회 간의 날 기념식 및 토론회에서 C형간염검사 국가검진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향후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비알코올 지방간질환에 대해서도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간질환 중에서도 조기검진의 중요성이 유독 강조돼온 ‘C형간염’. 방치 시 간경변, 간암 등 다른 간질환으로 악화될 위험이 높지만 자각증상은 물론, 예방백신조차 없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C형간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조기발견율을 높이려면 최소한 생애전환기검진(만 40세·만 60세를 대상으로 하는 국가건강검진)에 C형간염검사를 꼭 포함시켜야한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해왔다.

특히 최근 완치율이 100%에 가깝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C형간염치료제가 개발됨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가 2030년까지 만성C형간염을 박멸할 계획을 발표, C형간염검사 국가검진 도입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에 앞서 전문가들은 개정된 WHO의 검진기준에 따라 국가검진과 연계한 C형간염검사가 도입돼야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C형간염 국가검진 도입이 현안으로 제기된 데 대해 정부가 필요성은 공감하나 국가검진 기준에 맞지 않는다며 별도로 300억 규모의 예산을 들여 조기발견사업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국가검진 기준은 1968년 WHO원칙을 참조해 2011년 확정됐다. 이때 유병률 5%라는 중대한 건강문제 평가기준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WHO는 2017년 이미 C형간염 검진 대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정, ▲기존 고위험뿐 아니라 ▲전 국민 검진 시 유병률 기준을 2~5%로 권고했으며 ▲감염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출생코호트(특정 연령대 인구집단) 검진도 대상기준에 추가 권고했다.

대한간학회에서도 이미 C형간염 발생위험이 높은 40대 이상 연령대에서 국가검진과 연계한 C형간염 검진 시 20억~30억원 규모의 예산이 소요, 별도로 검진체계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점을 매년 강조해왔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는 17일 열린 ‘제19회 간의 날 기념식 및 토론회’에서 “국가검진 원칙 유병률 5% 기준은 건강검진의 여러 항목들(B형간염 등)에도 이미 적용되지 않고 있다”며 “개정된 WHO검진 기준에 따라 국가검진과 연계해 C형간염검사를 실시하면 정부가 밝힌 예산보다도 훨씬 적은 예산으로도 무증상환자를 발견하고 보다 빨리 치료를 시행해 감염전파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간학회는 최근 비만, 고지혈증 등의 증가와 함께 위험성이 높아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도 경각심을 가져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방간은 크게 알코올 과다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과 비만, 고지혈증 등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으로 나뉜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대부분 경과가 양호하지만 일부 환자(10%)에서 심각한 간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더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고혈압, 동맥경화 등이 잘 발생해 심혈관질환에도 취약하다.

이에 대한간학회는 향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증가에 대비해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국간재단과 함께 두 팔을 걷어붙였다.

양 기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연구비 지원 강화와 함께 공개강좌, 대국민 라디오캠페인 등을 통해 적절한 식이조절·운동으로 얼마든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더욱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