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스, 장건강 증진에 효과적”
“프로바이오틱스, 장건강 증진에 효과적”
  • 유대형 기자 (ubig23@k-health.com)
  • 승인 2018.12.24 12: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권미나 교수팀 연구결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생쥐, 장줄기세포 증식·분화
소장점막상피 복원…항암제·방사선 복통·설사 억제
프로바이오틱스에서 나오는 젖산이 장줄기세포를 활성화해 복통·설사 등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바이오틱스에서 나오는 ‘젖산’이 장줄기세포를 활성화하고 소장점막상피층을 복원해 복통·설사를 예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권미나 교수팀이 생쥐에게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한 결과, 젖산이 증가해 장줄기세포가 눈에 띄게 늘었고 줄기세포의 활발한 분화로 장조직세포가 많아져 소장점막상피층이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암제투여와 방사선조사를 받은 생쥐에게 프로바이오틱스를 먹인 결과, 소장점막상피층이 복원됐으며 복통과 설사로부터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암환자가 항암과 방사선치료를 받으면 소장점막상피층이 가장 먼저 손상돼 설사와 복통증상이 뒤따른다. 이에 지사제를 복용하고 전해질을 보충하는 등 사후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암환자들의 항암치료 후 소장점막상피세포 손상을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하여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났다.

장손상 생쥐모델실험에서 권미나 교수팀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주입한 생쥐와 그렇지 않은 생쥐를 관찰한 결과,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생쥐에서 장줄기세포가 크게 늘어 장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파네트세포, 상피세포, 점액분비세포 등)의 수와 기능도 함께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권미나 교수팀이 생쥐에게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한 결과, 젖산이 증가해 장줄기세포가 눈에 띄게 늘었고 줄기세포의 활발한 분화로 장조직세포가 많아져 소장점막상피층이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항암제와 방사선으로 장 손상을 유발한 후에도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하자 장줄기세포가 보호되고 소장점막상피세포 손상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관찰했다.

하지만 프로바이오틱스를 아예 섭취하지 않은 생쥐에서는 장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장손상을 입은 후 5일째 경과를 관찰하였더니 장줄기세포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설사와 복통도 악화된 것을 확인했다.

특히 권미나 교수팀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생쥐의 소장점막을 관찰한 결과, 장줄기세포를 활성화하는 신호물질(Wnt3 사이토카인)이 프로바이오틱스에서 나오는 젖산의 신호로 조절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장줄기세포 주변에는 파네트세포와 기질세포가 있는데 이 안의 젖산수용체가 프로바이오틱스분비 젖산을 만나 활성화되면 신호물질이 나타나 장줄기세포가 증식·분화하는 것이다.

젖산수용체를 인위적으로 결손시킨 생쥐는 젖산 신호를 받지 못해 신호물질분비가 크게 줄어든 점이 확인돼 젖산이 장줄기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요소임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으로 진행된 권미나 교수의 연구는 셀(Cell) 자매지 ‘셀 호스트 앤 마이크로브’ 12월 호에 게재됐다.

Wnt3 사이토카인은 장줄기세포를 활성화하는 신호전달체계다. 이를 조절하는 여러 기전이 장줄기세포 주변의 미세환경을 구성할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번 연구로 프로바이오틱스에서 분비되는 젖산이 해당 조절기전 중 하나임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프로바이오틱스는 장건강보조식품으로 활발히 출시되고 있지만 장줄기세포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전무했다. 이에 권미나 교수팀 연구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을 입증하는 근거로 젖산의 장줄기세포 조절 작용을 정확히 규명해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권미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프로바이오틱스가 분비하는 젖산이 장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기전임을 증명한 기초연구”라며 “후속 임상연구를 거쳐 프로바이오틱스로 항암과 방사선치료에 의한 장손상을 예방할 방법이 개발돼 암환자 삶의 질 향상에 도움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