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 달라도 신장이식 가능한 시대”
“혈액형 달라도 신장이식 가능한 시대”
  • 유대형 기자 (ubig23@k-health.com)
  • 승인 2019.01.10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성모병원,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 200례 달성
2009년 전체신장이식 10%에서 10년 사이 40%로
의학발전·의료진노력…보편적 신장이식 자리매김
서울성모병원은 혈액형이 달라도 신장이식을 진행하는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 200례를 돌파했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가 최근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 200례를 달성했다.

200번째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을 받는 환자(신모 씨, 59세 여자, A형)는 9년 전부터 복막투석을 해오던 중 혈액형이 달라도 이식이 가능하다는 방송을 보고 서울성모병원을 찾았다.

공여자는 딸(37세, 0형)로서 혈액형 A형에 대한 항체역가가 1:128로 비교적 낮은 ‘역가’를 보였다. ‘항체역가’란 환자가 기증자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는 강도를 말하며 이식 후 거부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의료진은 이식수술 한달 전 항체생성을 억제하는 주사(맙테라)를 투여하고 이식 전 6차례의 혈장반출술을 시행해 항체역가를 1:16이하로 감소시켜 이식수술을 진행했다. 이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수술 후 2주째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서울성모병원은 2009년 5월 첫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을 성공한 이후 2016년 1월 100례, 2018년 12월 200례를 달성했다.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을 시행한 첫 해에는 생체이식의 10%였으나 매년 증가해 2018년에는 서울성모병원 전체 생체신장이식의 39%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증가했다. 즉 생체 신장이식 10명 중 4명은 혈액형부적합 이식으로 이뤄진 것이다.

이러한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이 보편화된 것은 의학발전과 공여자부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료진노력의 결실로 평가받고 있다.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에 필요한 약제와 검사의 급여화로 더욱 활성화됐다.

혈액형부적합이식의 특징 중 하나는 부부이식이 49.5%로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의 절반은 부부간에 이뤄진 것이다. 다음으로 부모-자식간 공여가 20%, 형제간 공여가 17.5%로 뒤를 이었다.

서울성모병원은 그동안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 성적을 분석한 결과, 혈액형 적합이식과 비교해도 생존율에 차이가 없으며 혈액형 항체역가에 따른 생존율에도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공여자를 통해 신장과 간 동시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해 혈액형부적합 이식의 영역을 확대했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 센터장은 “아직까지도 혈액형이 부적합하면 이식이 금기로 알려졌지만 혈액형부적합 신장이식은 이제 보편적인 방법으로 자리잡았다”며 “공여자가 있지만 혈액형이 부적합해 망설이는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