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착증은 질병 아닌 성적기호 문제…성(性) 인식 형성엔 부모 역할 커”
“성도착증은 질병 아닌 성적기호 문제…성(性) 인식 형성엔 부모 역할 커”
  •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승인 2019.05.03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김봉석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근 일련의 사건들로 우리 사회의 잘못된 성 인식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특히 올바른 성(性) 인식이 형성되려면 부모는 자녀가 어렸을 때부터 성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올바른 성(性) 인식이 형성되려면 부모는 자녀가 어렸을 때부터 성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미투운동으로 낱낱이 드러났던 우리 사회의 잘못된 성 문화가 최근 공인들의 몰카촬영 및 유포사건으로 재점화됐다. 그런데 우리는 관련 사건들이 언급될 때마다 매번 ‘성도착증’이라는 다소 생소한 단어와 마주했다. 가해자들에서 공통적으로 의심된다는 성도착증은 과연 무엇일까.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봉석 교수에게 자세히 물었다. 

- 성도착증의 정확한 개념이 궁금하다.

성도착증은 이성 간의 정상적인 성행위가 아닌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성적 쾌감을 얻는 것을 말한다. 그 방법은 관음증(옷을 벗는 것, 성행위를 반복해서 몰래 보고자 하는 욕구), 노출증(낯선 사람에게 성기 등 신체부위를 노출하고자 하는 욕구), 소아기호증(13세 이하 아이들을 성희롱, 추행하는 행위로 만족을 얻음) 등 다양한 종류로 나타난다.

- 성도착증도 질병으로 봐야 하나. 

성도착증은 현재 질병이 아닌 성적기호의 문제, 즉 성적소수자로 보는 시각으로 변화됐다. 성 행동에 대한 판단기준은 시대가 변하면서 달라진다. 가장 쉬운 예로 동성애는 한때 비정상적인 성행동으로 생각됐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또 과거에는 구강성교 역시 사형에 처하는 중범죄에 해당했지만 지금은 문제되지 않는 성행위로 본다. 시대에 따라 정신질환과 성범죄에 대한 판단기준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김봉석 교수는 “현재 성도착증은 질병이 아닌 성적소수자로 보는 시각으로 변화돼 치료대상으로 보지는 않지만 그들이 성적소수자로서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법적인 문제를 일으킨다면 정신건강의학과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질병은 아니어도 별도의 관리가 필요할 것 같다.

만일 그들이 성적소수자로서 겪는 차별적인 시선에 스스로 많이 괴로워하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라면 정신건강의학과의 치료가 필요하다. 또는 최근의 사건들처럼 법적인 문제를 일으켜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결을 받으면 치료대상이 된다. 성욕을 줄여주는 약물치료를 시행하기도 하는데 이는 효과가 일시적이어서 지속적인 상담과 진료가 필요하다. 

- 어릴 적 안 좋은 경험도 성(性)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나.

어릴 적 성폭력은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실제로 어릴 적 성폭력을 경험한 이후에 우울증, 경계성인격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자살 및 성기능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고 알려졌다. 잘못된 성 인식을 갖게 되는 것도 큰 문제인데 만일 성장과정에서 이 부분이 올바로 교정되지 못하면 성인이 됐을 때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올바른 성 인식 형성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일은. 

성은 생물학적 성(sex·유전적으로 남성 혹은 여성으로 태어난 것)과 성 정체성(gender·남성 또는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성과 관계없이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뉜다. 특히 성 정체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부모의 양육방식과 가정환경, 심리·사회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형성된다.

따라서 자녀가 올바른 성 정체성을 형성하려면 부모가 성 역할을 명확히 보여주고 아이가 성 정체성에 문제를 보이는 행동을 하지 않는지 세심하게 관찰해야한다. 또 어릴 때부터 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거나 관련 책을 함께 읽으면서 성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하는 것이 좋다. 만일 아이가 성폭력을 당했다면 가해자를 통해 생긴 잘못된 성 지식을 교정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과 훈련을 빨리 받아야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