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해치는 간질환, 국가차원 대책 필요해”
“국민건강 해치는 간질환, 국가차원 대책 필요해”
  • 주혜진 기자 (masooki@k-health.com)
  • 승인 2014.05.08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정림 의원-대한간학회, 간 건강 증진 국가정책방향 토론회

의료보장사각지대에 놓인 간질환에 대한 국가차원의 정책과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문정림 의원(새누리당)이 주최하고 대한간학회가 주관한 ‘국민 간 건강 증진을 위한 국가정책방향’ 토론회가 7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효율적인 간질환관리와 대책마련을 위한 국가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리나라 간암사망률은 OECD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의 ‘201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한 해 동안 간암 등 간질환으로 사망한 국민은 약 1만8000명으로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에 이어 4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간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매년 2조6201억원에 달하고 있다.

대한간학회 한광협 이사장은 “간질환은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에도 큰 위협”이라며 “간질환에 의한 의료비용은 개인은 물론 국가경제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백신, 간염치료제 등의 등장으로 간질환이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알코올성질환과 비알코올성질환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먼저 ‘간질환의 국가 중점질환 관리의 필요성’을 주제로 발표한 일산백병원 내과 이준성 교수는 “대부분의 간질환은 만성적 중증질환”이라며 “간손상이 지속되면 결국 간경변증(간경화)과 간암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예를 들어 ‘간염검사의 날’을 지정하는 등 주요 만성간질환의 조기발견과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또 국가간암검진사업은 대상자 선정 부정확, 낮은 수검률, 간 초음파검사의 질관리, 사후관리 등의 문제가 있어 효율성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간질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발표한 대한간학회 김동준 의료정책이사는 고통 받고 있는 말기 간경화환자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달라며 증증질환 산정특례적용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김 이사는 “말기 간경화환자의 경우 5년 후 25%만 살아남을 정도로 위험하다”며 “간질환 사망의 특징 중 하나는 노인질환이 아닌 대부분 중년남성환자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간질환은 원인에 관계없이 간경화를 유발하며 간경화는 간암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다. 간암의 80%가 간경화를 동반할 정도다.

또 간질환의 원인이 되는 음주문화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2009년 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 결과 음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한해 18조983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배(5조6396억원)에 비해 3배가 넘는 금액이다. 알코올간질환은 알코올로 인한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한다.

이에 대해 김 이사는 “술은 유해물질이며 알코올 관련 정책과 규제가 필요하다”며 “특히 청소년음주율이 증가하고 있어 이를 바로 잡지 않으면 향후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또 “알코올문제가 중독에만 집중돼 있는 것은 매우 지엽적”이라고 덧붙였다.

또 질병관리본부 감염예방관리과 김영택 과장은 A형간염의 경우 주기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고 B형간염은 현격히 감소했지만 수직감염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통일을 대비한 간질환 대처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경희대 의학전문대학원 최중명 교수는 “남북 건강수준 격차완화를 초점으로 대북 보건의료사업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며 “북한의 상대적으로 높은 간질환 유병률과 백신사업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통합지원이 가능한 ‘통일한국 국가간질환관리체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정림 의원은 “만성간질환의 조기발견을 위한 체계적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국가암정보센터’와 비슷한 ‘국가간정보센터’를 운영하는 방침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간질환의 특성에 따라 건강보험적용을 고려함은 물론 통일시대를 대비한 간질환 국가관리체제 구축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