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뇌졸중? 알쏭달쏭 ‘파킨슨병’ 이럴 때 의심하라!
치매? 뇌졸중? 알쏭달쏭 ‘파킨슨병’ 이럴 때 의심하라!
  •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승인 2019.04.12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킨슨병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한쪽 팔다리가 뻣뻣해지는 등 뇌졸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파킨슨병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마비증상이 반대편에도 나타나며 어느 순간 갑자기 나타나는 뇌졸중과 달리 파킨슨병은 병이 악화되면서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파킨슨병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한쪽 팔다리가 뻣뻣해지는 등 뇌졸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파킨슨병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마비증상이 반대편에도 나타나며 어느 순간 갑자기 나타나는 뇌졸중과 달리 파킨슨병은 병이 악화되면서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인성질환의 발병률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중 치매, 뇌졸중과 함께 3대 노인성질환으로 꼽히지만 놓치기 쉬운 질환이 바로 ‘파킨슨병’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질환들과 증상이 비슷한 탓에 일찍 알아차리기 어려운 데다 파킨슨병을 아직 잘 모르는 사람도 많다. 전문가들의 도움말로 파킨슨병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

■치매…기억력에, 파킨슨병…움직임에 주목

파킨슨병과 치매는 주로 고령층에서 흔히 발생하다 보니 서로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두 질환 모두 뇌 안의 어떤 변화 때문에 발생하지만 기전도 증상도 다르다.

일단 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들이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떨림이나 보행장애 등 주로 몸을 움직이는 데 문제가 생긴다.

반면 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뇌에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서서히 괴사하는 질환으로 자꾸 무언가를 깜빡하거나 언어능력이 저하되는 등 인지기능과 기억력에 문제가 나타난다.

물론 파킨슨병환자에서도 치매가 동반될 순 있지만 초기부터 기억력저하나 지남력장애 등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뇌졸중…마비증상 한쪽만, 파킨슨병…시간 지나면 반대쪽도

파킨슨병은 병이 서서히 악화되면서 눈에 보이는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전신피로와 권태감, 팔다리 어깨통증 등이 나타나는 정도인데 이런 증상들은 오십견이나 신경통, 우울증 등으로 오해하기 쉽다.

또 파킨슨병환자의 70%가 뇌졸중치료를 받았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파킨슨병 역시 뇌졸중과 비슷하게 움직임이 느려지거나 손발이 떨리고 팔다리가 뻣뻣해지는 신체마비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특히 파킨슨병 초기에는 손을 떨거나 발이 끌리는 등의 증상이 몸 한쪽에만 나타나 뇌졸중으로 오해하기 더 쉽다.

하지만 파킨슨병은 2년 정도 지나면 마비증상이 반대쪽도 나타난다. 또 뇌졸중에서 보이는 마비증상은 힘이 빠지면서 나타나지만 파킨슨병은 운동속도가 느려질 뿐은 힘은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파킨슨병은 병이 진행하면서 증상도 서서히 나타나지만 뇌졸중은 어느 시점에 갑자기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고대구로병원 뇌신경센터 고성범 교수는 “초기에는 손발이 떨리거나 움직임이 더뎌지는 등 파킨슨병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잘 안 나타나기 때문에 구분이 쉽지 않다”며 “특히 최근에는 20~30대에서도 파킨슨병환자가 발생하고 있는데 젊은층의 파킨슨병은 유전적요소가 강해 부모 중 파킨슨병환자가 있는 사람이 손 떨림증상이 있다면 바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약물치료 기본, 수술 병행 시 치료효과↑

현재까지 알려진 파킨슨병의 기본적인 치료법은 약물치료다. 약물로 뇌에서 부족해진 도파민을 보충하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지만 완치는 어렵다. 또 시간이 지나면 약물치료효과가 줄어들고 약물을 복용해도 1~2시간이 지나면 상태다 다시 악화되거나 의지와 상관없이 춤추듯 몸을 흔들게 되는 이상운동항진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뇌심부자극술이라는 수술을 병행하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뇌심부자극술은 비정상적인 이상운동신호를 보내는 뇌의 부위를 찾아내 전기자극기를 심어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증상을 호전시키는 방법이다. 비교적 안전하고 간단한 수술로 수술당일 바로 식사와 운동이 가능할 만큼 후유증이 거의 없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안태범 교수는 “파킨슨병은 처음 약물치료를 시작하더라도 증상이 서서히 악화되기 때문에 꾸준히 약물을 조절하며 치료효과를 살펴야한다”며 “약물치료로 증상조절이 어려운 경우 수술적 치료를 병행하면 호전속도와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점에서 파킨슨병은 신경과와 신경외과의 협진을 토대로 한 다학제진료가 이뤄져야한다”고 덧붙였다.

파킨슨병은 어깨통증이 심한데 그 강도가 파킨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훨씬 강해 우울증까지 동반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관리와 함께 정신건강에 대한 부분도 치료를 병행하고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물리치료를 꾸준히 받아 관절이 굳는 것을 막아야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파킨슨병은 어깨통증도 심한데 그 강도가 파킨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훨씬 강해 우울증까지 동반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관리와 함께 정신건강에 대한 부분도 치료를 병행하고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물리치료를 꾸준히 받아 관절이 굳는 것을 막아야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수술 이후 관리 필수, 통증·우울증치료 병행해야

파킨슨병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는 병이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수술 초기 상태가 많이 좋아져도 6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나면 상태가 악화되거나 다른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이때는 약물을 조절하거나 삽입한 전기자극기를 조절해야한다.

고성범 교수는 “또 파킨슨병환자는 어깨통증도 많이 발생하는데 파킨슨병을 갖고 있지 않은 같은 나이대 사람들보다 통증강도도 훨씬 심해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도 문제가 발생한다”며 “통증관리와 우울증치료를 병행하고 관절이 굳는 것을 막기 위해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물리치료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박창규 교수는 “파킨슨병은 평생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자신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 관리법을 유지한다면 얼마든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평소 부모님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볼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