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말기 폐부전환자들의 희망으로… ‘폐이식수술’ 200례 달성
서울아산병원, 말기 폐부전환자들의 희망으로… ‘폐이식수술’ 200례 달성
  •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승인 2022.02.17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후유증 환자 10명에도 새 삶 선물
중증환자 다수에도 이식 후 생존율 높아
다학제 진료시스템으로 수술 후 관리 만전

서울아산병원이 지금까지 200례의 폐이식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며 산소보조나 호흡기 없이는 숨쉬기 어려운 말기 폐부전환자들의 희망으로 떠올랐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폐이식팀은 폐동맥고혈압을 동반한 간질성 폐질환으로 심각한 호흡곤란을 겪던 김 모 씨(여, 54세)에게 뇌사자의 폐를 성공적으로 이식하며 최근 폐이식 수술 200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은 2008년 특발성폐섬유증 환자에게 뇌사자의 폐를 이식한 것을 시작으로 점차 수술경험을 늘려왔다. 지금까지 말기 폐부전환자들에게 뇌사자 폐이식 199건과 생체 폐이식 1건을 시행했다. 2019년부터는 매년 3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며 국내 폐이식환자 4명 중 1명의 폐이식수술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폐이식 환자 200명 중 남성은 127명, 여성은 73명으로 남성이 월등히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60대가 64명으로 전체의 32%를 차지했고 50대(49명), 40대(29명), 30대(20명), 10대(18명), 10세 미만(10명) 순으로 많았다.

원인질환으로는 폐가 딱딱해지면서 폐 기능을 상실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특발성폐섬유증이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폐쇄세기관지염, 급성호흡곤란증후군, 간질성 폐질환, 중증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폐이식 수술을 받았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폐이식팀 김동관 교수(흉부외과·오른쪽 두 번째)가 1월 13일 서울아산병원 동관 3층 수술실에서 폐동맥 고혈압을 동반한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게 200번째 폐이식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이 중에는 가습기 살균제 부작용으로 심각한 폐 손상을 입은 환자 13명과 코로나19 감염 후유증으로 폐기능을 상실한 환자 10명도 포함됐다는 설명이다. 코로나에 감염돼 폐이식을 받은 환자 중에는 멕시코에 사는 50대 교민도 있었으며 심각한 폐섬유증을 앓던 환자는 기계장치에 목숨을 의존한 채 에어엠뷸런스를 타고 서울아산병원에 이송됐고 2020년 9월 폐이식 수술을 받아 기적적으로 건강을 회복했다.

2017년에는 특발성폐고혈압으로 심장이 언제 멈출지 모르는 스무 살 환자가 부모의 폐 일부를 성공적으로 이식받아 건강을 되찾은 사례도 있었다. 국내 최초로 시행된 생체 폐이식 수술이 성공을 거두면서 살아있는 사람의 폐를 이식받을 수 있게 하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개정되기도 했다.

이식 후 높은 생존율도 주목할 만하다. 서울아산병원에서 폐이식 수술을 받은 200명의 환자 중 약 70%는 인공심폐기(에크모)나 기계적 환기 장치를 오래 유지한 중증환자였는데도 1년 생존율 80%, 3년 생존율 71%, 5년 생존율 68%, 7년 생존율 60%를 보이고 있다.

국내외 폐이식 생존율(단위: %)

서울아산병원 측은 “이는 전 세계 유수 폐이식 센터들의 성적을 합한 국제심폐이식학회(ISHLT)의 1년 생존율 85%, 3년 생존율 67%, 5년 생존율 61%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국내 폐이식 성적을 모두 모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의 1년 생존율 63%, 3년 생존율 53.4%, 5년 생존율 47.9%, 7년 생존율 43.9%와 비교해도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높은 폐이식 생존율을 유지할 수 있는 데는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만의 유기적인 다학제 진료시스템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폐는 심장이나 간, 신장 등 다른 장기와 달리 뇌사자 기증이 적어 이식 대기가 길 뿐 아니라 호흡 과정에서 외부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감염 위험도 크다. 이식 거부반응마저 심해 이식 후 생존율이 높지 않은 편이다.

이에 서울아산병원은 폐이식 환자를 중심으로 흉부외과, 호흡기내과, 마취통증의학과, 감염내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장기이식센터, 수술실, 중환자실, 병동 등 모든 의료진이 하나의 폐이식팀을 이뤄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중환자 관리를 시행해 수술 후 출혈이나 합병증을 크게 줄여왔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폐이식팀 홍상범 교수(호흡기내과)는 “폐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이식 거부반응과 여러 합병증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며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은 고도화된 중환자 치료 시스템을 통해 이식 환자들의 면역억제제 복용을 적절히 조절하고 올바른 호흡재활 운동을 도와 환자들의 장기 생존과 높은 삶의 질을 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폐이식팀 박승일 교수(흉부외과)는 “간이나 심장 등 다른 장기에 비해 낮았던 폐이식 생존율이 이식 환자 3명 중 2명이 5년 이상 생존할 만큼 크게 향상됐다”며 “앞으로도 폐이식팀의 탄탄한 팀워크와 유기적인 다학제 진료시스템을 바탕으로 더 많은 말기 폐부전 환자들이 새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