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치료 후 혈압관리 잘 했는데 혈관질환?…원인 찾았다
뇌졸중 치료 후 혈압관리 잘 했는데 혈관질환?…원인 찾았다
  • 유인선 기자 (ps9014@k-health.com)
  • 승인 2023.02.09 17: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병원·중앙대병원 공동연구팀 연구결과 발표
뇌 속 편도체 대사활동 활발해지면 혈관질환위험↑
편도체 및 척추에서 대사활동이 활성화된 환자(오른쪽)는 퇴원 후 뇌졸중이 2차례 재발하여 결국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했다. 반면, 대사활동이 정상 수준이었던 환자(왼쪽)은 재발 없이 안정적인 예후를 보였다.
편도체 및 척추에서 대사활동이 활성화된 환자(오른쪽)는 퇴원 후 뇌졸중이 2차례 재발해 결국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했다. 반면 대사활동이 정상 수준이었던 환자(왼쪽)은 재발 없이 안정적인 예후를 보였다.

국내 연구진이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뇌졸중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제시했다. 뇌 속 ‘편도체’의 대사활동이 활발해지면 뇌졸중환자의 혈관질환 발생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것.

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정민 교수와 중앙대병원 신경과 박광열·석주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편도체 및 척추에서 활성화된 대사작용이 뇌졸중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뇌졸중환자 110명의 양전자 단층 촬영(FDG-PET)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를 밝혔다.

사망위험이 높은 뇌졸중의 예후를 개선하려면 혈관위험인자(고혈압·당뇨·이상지질혈증 등) 조절이 중요하다. 하지만 혈관위험인자를 잘 관리해도 재발이나 혈관질환을 경험하는 뇌졸중환자가 있으며 그 원인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신경화 김정민 교수, 중앙대병원 신경과 박광열·석주원 교수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신경화 김정민 교수, 중앙대병원 신경과 박광열·석주원 교수

연구팀은 전통적인 위험인자 외에 뇌졸중환자의 나쁜 예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뇌 속 ‘편도체’에 주목했다. 공포·불안·스트레스를 느낄 때 활성화되는 편도체는 대사작용이 활발해지면 척추 등 조혈기관의 염증세포를 증가시켜 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최근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편도체가 뇌졸중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아직까지 연구된 바 없었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주요 장기의 대사활성도를 측정하는 ‘양전자 단층 촬영(FDG-PET)’으로 2015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급성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110명을 검사했다.

이후 퇴원한 환자들의 뇌졸중 재발 및 혈관사건(심근경색·말초동맥질환·사망) 발생여부를 추적 관찰한 결과 편도체와 척추의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이 수치가 낮은 환자보다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편도체 대사활성도가 높은 환자는 낮은 환자보다 혈관사건 발생위험이 약 3.1배 증가했고 척추의 대사활성도가 높으면 뇌졸중 재발위험이 약 4.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당뇨, 사구체여과율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한 결과 편도체 및 척추의 대사활성도는 뇌졸중 재발과 혈관사건에 대해 독립적인 예측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전통적인 혈관위험인자뿐 아니라 뇌와 심장을 연결하는 신경경로가 심혈관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해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편도체 대사활성도와 혈관질환의 연관성은 불안·스트레스에 대한 치료가 뇌졸중 재발 예방효과가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향후 뇌졸중 치료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정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뇌졸중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병태생리 기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며 “기전을 더욱 정확하게 규명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 학술지 ‘심혈관영상저널’ 1월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