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진료는 119 타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뇌졸중 진료는 119 타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승인 2023.04.19 12: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뇌졸중학회, 국내 응급의료체계문제 지적
“119-전문진료과 소통 가능한 이송체계 구축해야”
대한뇌졸중학회는 오늘(19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뇌졸중환자가 병원을 찾지 못해 사망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고  국내 응급의료체계 개편을 통해 뇌졸중 안전망을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뇌졸중전문의 기반의 이송체계 구축과 진료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뇌졸중 안전망은 무너질 것이다.”

대한뇌졸중학회가 1월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필수의료 지원대책과 관련, 성명서를 통해 뇌졸중 치료 대책 보완 필요성을 강조한 데 이어 또 한 번 강하게 목소리를 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오늘(19일)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에서 ‘응급의료기본계획 및 필수의료 지원대책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문제를 지적, 뇌졸중전문의 기반의 이송체계 구축과 진료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뇌졸중학회 김태정 홍보이사는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꼬집으면서 현 체계 안에서는 뇌졸중환자가 병원을 찾지 못해 사망하는 사례가 계속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한뇌졸중학회 김태정 홍보이사(서울의대 신경과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응급의료체계문제를 적나라하게 지적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119구급대와 전문진료과 간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이송체계가 없다는 것. 이에 119가 치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들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 응급실을 가도 이미 경증환자로 넘쳐 정작 빨리 치료받아야 할 중증환자의 진료는 불가능한 현실이라는 지적이다.

김태정 홍보이사는 “이런 문제들이 반복되고 있는데 최근 발표된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23~’27)에도 관련 대책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며 “무엇보다 뇌졸중은 적기에 치료받으면 건강한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질환인데 현재의 체계가 지속된다면 골든타임을 놓치는 환자들이 계속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강원의대 신경과) 역시 “권역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해 여러 응급의료센터가 병실과 의료진 부족문제로 24시간 치료할 수 있는 의료역량을 갖추기 힘든 상황인데 경증환자로 넘치는 응급의료센터의 응급실에서 중증환자의 진료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정부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뇌졸중학회 배희준 이사장은 “뇌졸중의 후유장애는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며 “정부는 뇌졸중 후유장애 예방에 정책 목표를 두고 신속히 진단·치료할 수 있는 뇌졸중 치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의료계와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학회는 응급의료체계 개편방향을 구체적인 제시했다.

먼저 경증환자와 중증환자의 진료를 분리해 중증응급의료센터는 필수 중증환자의 최종 치료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무엇보다 119구급대와 전문진료과 간 연계시스템을 필수적으로 구축, 뇌졸중 의심 환자라면 119와 응급신경학 전문의가 바로 소통해 1차 진단이 이뤄지게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학회는 진단, 이송, 치료 등 전체과정을 관리하고 환자의 최종 이송을 책임질 수 있는 관제센터 역할을 할 중앙심뇌혈관센터 지정과 운영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모든 병원에서 24시간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 84개뿐인 뇌졸중센터와 권역센터를 확충해 최종진료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뇌졸중학회 배희준 이사장은 “뇌졸중으로 후유장애를 갖고 평생을 살고 싶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며 “정부는 단순히 사망률 감소가 아니라 국민이 후유장애를 최소화하는 데 정책 목표를 두고 이에 맞는 뇌졸중 치료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대한뇌졸중학회 역시 정부가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뇌졸중 치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