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청년 일상 복귀…국가 지원·개인 노력 뒷받침돼야
고립·은둔청년 일상 복귀…국가 지원·개인 노력 뒷받침돼야
  • 한정선 기자·심예은 인턴기자 (with.sim@k-health.com)
  • 승인 2023.12.28 1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ㅅ
정부가 고립·은둔청년들을 위한 정책을 마련했지만 문제를 극복하려면 청년 개인의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우리 사회 고립·은둔청년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정부가 첫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그간 일부 지자체에서 대책을 시행한 바 있지만 중앙정부차원에서는 처음이다.  

‘고립’은 사회에서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하며 ‘은둔’은 사회적 활동을 하지 않은 채 스스로를 고립시킨 상태를 말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쉬었음’ 청년(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쉬고 있는 이들)은 2023년 40.2만명으로 지난해 대비 약 4.2만명이 늘었다. 주요 이유는 취업난, 대인관계, 가족관계 및 건강 순으로 지난해와 동일했다.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23년 고립·은둔청년 실태조사’에서도 응답자 가운데 25~29세가 37%를 차지했고 10명 중 7명이 여성이었다.

청년들의 사회적 단절은 인재손실, 소비와 생산감소 등 국가 경제발전을 제약한다. 전문가들은 고립·은둔문제를 방치할 경우 연간 약 6.7조원의 사회적 비용 손실을 예상한다.

하지만 이들도 고립·은둔상태에서 벗어나려는 의지가 강하다. 문제는 극복에 실패해 다시 은둔상황에 빠졌다는 것. 복지부의 고립·은둔청년 실태조사에서 응답자 중 80.8%가 현재상태를 벗어나길 원했고 45.6%는 탈은둔을 시도했지만 재은둔에 빠졌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돈 부족, 심리적으로 지쳐서라고 언급했다.

이에 복지부는 ▲청년발굴체계마련 ▲일상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자원 연계 ▲법적극복 등 4가지 주요과제를 제시하고 고립·은둔청년을 위한 정책을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먼저 복지부는 자가진단 시스템을 구축해 누구나 고립·은둔상태를 진단, 24시간 외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이트를 개설한다. 이는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얻는 고립·은둔청년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원스톱 도움창구로 운영될 예정이다. 도움을 요청한 청년들은 전담사례관리자의 현장방문 후 케어플랜 수립 및 프로그램을 지원받게 된다. 이밖에도 ‘학생맞춤통합지원 선도학교’ ‘온보딩(On-Boarding) 프로그램’ ‘문화케어프로그램’ 등이 예정돼 있다.

복지부 조규홍 장관은 “고립·은둔청년들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정부가 나서서 돕는 것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길”이라며 “고립·은둔청년들이 사회로부터 은둔하지 않게 다양한 청년 복지정책을 통해 이들을 폭넓게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정책만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즉 국가적 지원 외에도 청년 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민재 교수는 “매일 같은 시간 기상하고 주변을 정돈하는 등 작은 것들을 실천해 성취감을 느끼면 과거 실패 경험으로 느꼈던 좌절감, 죄책감, 분노 등을 이길 수 있다”며 “심리상담이나 자조모임 등을 통해 어려웠던 감정을 표현하고 사람들과 조금씩 소통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