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케어, 한국기술력 최고 걸림돌은 통일성
디지털헬스케어, 한국기술력 최고 걸림돌은 통일성
  • 이원국 기자 (21guk@k-health.com)
  • 승인 2023.01.27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포르투갈 리스본 대학연구소 엘린케 마틴스(ph.D Henrique Martins) 교수
엔리케 마틴스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는 현재 개발 초기 단계”라며 “해외 여러 국가가 선진적인 디지털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 중이지만 규격이 제각각인 만큼 제도화를 통한 일괄적인 프로토콜 정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엔리케 마틴스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는 현재 개발 초기 단계”라며 “해외 여러 국가가 선진적인 디지털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 중이지만 규격이 제각각인 만큼 제도화를 통한 일괄적인 프로토콜 정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헬스케어산업은 국민건강과 직결돼 있는 만큼 규제산업으로 분류됐지만 지금은 세계적으로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다. 헬스케어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한층 더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외부활동이 제한되면서 원격의료분야가 급속도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신기술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지 않아 현실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전 세계를 대상으로 디지털헬스케어를 컨설팅하는포르투갈 리스본 대학연구소 엘린케 마틴스(ph.D Henrique Martins) 교수를 만나 디지털헬스케어의 발전방향에 대해 들었다.

- 디지털헬스케어 하면 인공지능(AI), 웨어러블 등이 먼저 떠오른다.

국가마다 디지털헬스케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하지만 WHO, 미국 FDA, 유럽연합(EU) 등의 정의를 취합했을 때 건강관련서비스와 의료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디지털헬스케어에는 ▲무선헬스케어 ▲모바일헬스케어 ▲원격의료 ▲전자의료기록(EMR·EHR) 등의 분야가 있다. 세계 디지털헬스케어시장은 2020년 기준 1520억달러(한화 187조원)로 4330억달러(한화 535조원)에 달하는 반도체시장의 약 35%이다. 이 추세로 계속 성장한다면 2025년에는 5080억달러(한화 627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코로나19로 디지털헬스케어가 급격한 성장을 이뤘다.

20세기 이후 의학기술은 급속도로 발달했고 1980년 WHO가 ‘천연두 종식’을 선언했을 때만 해도 인류는 감염병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믿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사상초유의 팬데믹이 발생하면서 2020~2021년은 디지털헬스케어, 특히 원격의료에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미국은 넓은 국토와 비싼 의료비를, 유럽은 인구고령화와 부족한 의료인력 등을 대체하기 위해 원격의료를 대안으로 삼았다. 또 최근에는 메타버스를 통해 간호사·예비의료인들을 교육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아직 원격의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됐을 뿐이다. 대한민국은 인구고령화속도가 빠르고 지역 간 의료격차가 큰 만큼 원격의료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 현재 디지털헬스케어를 선도하는 국가는.

많은 사람들이 미국을 꼽는다. 미국이 탈규제정책으로 애플, 아마존, 구굴 등 유수의 기업들이 마음 놓고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기 떄문일 것이다. 물론 미국은 메타버스, 원격의료, 웨어러블 등 훌륭한 디지털헬스케어플랫폼을 보유 중이다.

하지만 좋은 플랫폼을 가졌다고 해서 시장을 독점했다고는 볼 수 없다. 예컨대 독일과 핀란드, 포르투갈은 뛰어난 의무기록플랫폼을 갖고 있다. 영국 역시 바빌론헬스를 통해 AI 기반의 의료데이터분석이 가능한 챗봇을 보유 중이다. 즉 영역만 다를 뿐 해외 여러 국가가 선진적인 디지털헬스케어시스템을 보유 중이다. 특히 EU는 최근 가이드라인에 이어 소속 국가들과 협의, 통일화된 규제를 추진 중인데 성공한다면 모든 국가가 유럽 진출 시 EU의 규제를 따라야 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디지털헬스케어 발전가능성은.

한국에는 뛰어난 디지털헬스케어제품이 많다. 이번 CES 2023에서도 여러 기업이 획기적인 제품들을 선보였다. 기업들이 서로 경쟁하기 때문에 좋은 디지털헬스케어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큰 걸림돌이 있다. 바로 ‘통일성’이다. 한국은 의료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상급종합병원이 많이 분포돼 있다. 문제는 이들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무전자기록(EMR)이 각양각색이라는 것. 디지털헬스케어는 현재 초기단계다. 따라서 ‘국가-병원-기업-환자’ 등 제도화를 통한 일괄적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만일 한국의 디지털헬스케어 개발이 이대로 진행된다면 머지않아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인해 의료소비자들이 큰 불편을 느낄 것이다.

- 개인정보보호가 가장 큰 걸림돌인데 대안은.

디지털헬스케어에서 사용되는 개인정보는 의료정보인 만큼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모든 국가가 개인에게 개별사전동의를 받고 있는데 최근 빅데이터가 개발되면서 이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다.

대안으로는 ‘비식별화’와 ‘익명화’가 제시되고 있다. 비식별화는 개인과 기업·병원이 서로 열쇠와 자물쇠를 갖고 있는 블록체인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열쇠가 많으면 잊어버리기도 쉽듯이 먼 미래를 봤을 땐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정보의 주체가 ‘소비자’가 돼야 한다. 소비자가 개인의료정보를 보유하고 사용할 때마다 그 기관에 허가를 내주는 것이다. 정부와 기업입장에서도 부담이 줄고 개인 역시 정보의 권한이 자신에게 있기 때문에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