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나이에 허리가 구부정? 젊은층 건강적신호 ‘강직척추염’
젊은 나이에 허리가 구부정? 젊은층 건강적신호 ‘강직척추염’
  •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승인 2016.06.20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리디스크로 오인해 치료시기 놓치는 경우 많아, 조기진단·치료 필수

#24세 대학생 윤문근 씨는 어느 날부터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 허리와 엉덩이가 뻣뻣하고 간간히 발뒤꿈치에 통증이 발생해 척추전문병원을 찾았다. 엑스레이를 찍었지만 병원에서는 뼈나 근육에는 별 이상이 없고 아킬레스건염이 조금 있는 것 같다며 소염진통제만 처방해 주었다. 하지만 증상이 가라앉다 심해졌다를 반복한 채 1년 여를 지냈다. 결국 허리를 쉽게 펴기가 힘든 지경에 이르렀고 무릎통증까지 나타나 대학병원 류마티스내과를 방문했고 그는 ‘강직척추염’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윤 씨와 같은 강직척추염환자는 국내 약 3만7000여명으로, 주로 10대에서 30대 젊은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는 거의 대부분 남성들에게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자료들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2대 1일 또는 3대 1일 정도로 여성들에게도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보통 허리에 통증을 느끼면 허리디스크를 떠올리지만 이처럼 10~30대 젊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강직척추염은 척추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가 탈출되는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과 달리 척추에 염증이 생겨 강직이 오는 병으로 제대로 치료 받지 못할 경우 허리와 등, 목이 서서히 굳어지는 희귀난치성질환 중의 하나다.

 

강직척추염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병명도 생소한데다 대개 젊은 사람들이 엉덩이 통증과 함께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자칫 허리디스크로 오인해 엉뚱한 치료를 받거나 방치돼 조기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한 번 관절의 강직이 발생하면 다시 정상으로 되돌릴 수는 없기 때문에 초기에 제대로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가 이뤄져야 척추가 굳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강직척추염은 서서히 시작된 허리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침 기상 시 또는 한 자세로 오래 있는 경우에 엉덩이 통증이 심해지고 뻣뻣해지다가 운동 후에는 오히려 통증이 호전되는 경우에 일차적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새벽에 통증으로 인해 잠을 깨었다가도 아침에 일어나 활동을 시작하면 증상이 나아지기도 한다. 하지만 피곤해서 그런 것으로 착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한다.

또 10대의 어린 나이 때부터 발뒤꿈치나 아킬레스건에 염증이 자주 생기거나 포도막염 등으로 인해 눈에 염증이 생겨 시력이 떨어지고 또는 특별한 이유 없이 무릎이나 발목이 붓거나 가슴통증이 생기는 증상들도 강직척추염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주요 증상들이다.

중앙대병원 류마티스내과 최상태 교수는 “강직척추염은 치료가 늦어질 경우 엉치엉덩관절이나 척추가 점점 굳어짐은 물론, 발뒤꿈치나 무릎, 앞가슴뼈 등과 같은 말초 관절염으로 염증이 번질 수도 있어 초기에 정확히 진단하고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염증이 지속될 경우 척추가 붙어 몸이 앞으로 굽는 변형이 일어나 20~30대의 젊은 나이에도 허리와 등이 꼬부라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포도막염이나 염증성장질환, 건선, 대동맥판막질환 및 호흡기질환 등의 전신적인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직척추염의 발생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과 기타 환경적 요인 및 면역반응의 이상 등 다양한 요인들이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담배가 강직척추염의 발병에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강직척추염은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예방이 어려운데다 방치될 경우 만성 통증과 척추변형 및 합병증으로 인해 젊을 때부터 심각한 고통을 받을 수 있어 무엇보다도 조기진단·치료가 중요하다.

최상태 교수는 “강직척추염의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금연과 함께 스트레칭을 통해 뻣뻣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운동, 수영이나 걷기 같은 유산소운동 및 적절한 근력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고 비스테로이드항염제 및 종양괴사인자 억제제 등의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치료 받으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와 함께 운동 치료를 지속적으로 병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