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 3D프린팅으로 생생하게…세계 최초 모사칩 개발
제2형 당뇨병, 3D프린팅으로 생생하게…세계 최초 모사칩 개발
  • 장인선 기자 (insun@k-health.com)
  • 승인 2023.04.03 1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평성모병원 공동연구팀, 제2형 당뇨병 및 당뇨망막병증 모사칩 개발
은평성모병원 안과 원재연 교수와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3D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해 제2형 당뇨병 및 당뇨병성망막병증의 모사 칩을 개발했다. 

당뇨병환자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당뇨병 극복을 위한 학계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3D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제2형 당뇨병 모사 칩을 개발, 당뇨병환자의 특성 파악과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은 안과 원재연 교수와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공동연구팀이 3D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해 개발한 ‘제2형 당뇨병 모사 다기관 칩’ 및 ‘당뇨병성 망막병증 모사 칩’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제2형 당뇨병 모사 다기관 칩은 제2형 당뇨병 발생에 있어 중요한 장기들로 꼽히는 췌장, 간, 지방조직, 혈관들을 1개의 칩 위에 유기적으로 배열했다.

3D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한 제2형 당뇨병 모사 다기관 칩 제작과정

모사 칩은 고분자 화합물 프레임에 ▲인슐린 분비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췌장 베타세포(pancreatic beta cell) ▲지방조직 구현을 위한 지방세포(adipocyte)와 대식세포(macrophage) ▲간을 조성하는 간세포(HepG2)를 정교하게 프린팅한 후 인체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각 장기 세포층에 혈관내피세포(HUVEC) 및 생체적합 플라스틱 소재(PDMS)를 추가하고 관류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한다(그림 1 참고).

연구팀에 따르면 이렇게 만들어진 칩은 실제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서 나타나는 여러 병적 특성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당뇨병 치료 약제의 효과 또한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연구팀은 이 칩을 이용해 지방조직과 제2형 당뇨병 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피하지방보다는 내장지방이 당뇨병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3D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한 당뇨병성망막병증 모사 칩 제작과정

나아가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2형 당뇨병의 대표 합병증으로 꼽히는 당뇨병성망막병증 연구용 칩도 함께 개발했다.

당뇨병성망막병증 모사칩은 망막색소상피세포 등으로 구성한 망막 모사체를 제2형 당뇨병 모사 다기관 칩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당뇨병성망막병증에서 나타나는 망막의 변화를 재현할 수 있다(그림 2 참고).

연구팀은 당뇨병성망막병증 칩 개발을 위해 시행한 선행연구를 통해 제2형 당뇨병환자의 내장지방이 당뇨병성망막병증의 중증도를 심화시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안구의 방수*에서 유래한 지방분비물을 이용,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의 관계 규명을 시도한 세계 최초 연구로 제2형 당뇨병환자의 내장지방 감소가 당뇨병성망막병증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수 :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존재하는 액체. 적절한 안압을 유지시키고 각막과 수정체에 영양분을 공급하며 대사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2형 당뇨병은 비만, 식습관,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 연령 불문 비만인구가 늘면서 소아청소년과 젊은층에서도 제2형 당뇨병이 늘고 있다.

당뇨병성망막병증은 눈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당뇨합병증으로 우리나라 실명원인 1위를 차지한다. 당뇨병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매년 유병률이 30% 가까이 증가할 정도로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고된 연구팀의 이번 성과는 생체실험 없이도 3D프린팅기술을 활용한 모사칩으로 당뇨병을 연구할 수 있다는 데 기대감을 높였다.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는 “당뇨병에 관여하는 주요 장기들을 유기적으로 구성한 칩의 개발은 제2형 당뇨병 분야에서 지금까지의 성과를 뛰어넘을 수 있는 대규모 연구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은평성모병원 안과 원재연 교수는 “만성질환인 제2형 당뇨병은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지만 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조직별 미세 환경을 재구성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이번 연구가 당뇨병성망막병증을 비롯한 합병증 연구 및 약제 개발 등 여러 분야의 연구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들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첨단 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19.924) 및 분자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F=6.208) 최신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