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의료공백…누굴 위한 파업일까
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의료공백…누굴 위한 파업일까
  • 이원국 기자 (21guk@k-health.com)
  • 승인 2024.02.22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일 오전 기준 전공의의 3분의 2가량인 9300여명이 사표를 냈고 8000여명이 출근하지 않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22일 오전 기준으로 전공의의 3분의 2가량인 9300여명이 사표를 냈고 8000여명이 출근하지 않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에 반발해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이 병원을 이탈한 지 3일이 됐다. 22일 오전 기준 전공의의 3분의 2가량인 9300여명이 사표를 냈고 8000여명이 출근하지 않은 것.

대부분의 대형병원은 수술을 50% 감축했으며 이로 인해 입원과 수술, 진료, 검사들이 지연되고 있다. 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로 돌아갔다.

응급실은 더욱 심각하다. 일부 대형병원에서는 “병상포화로 심근경색·뇌졸중·심정지 등 환자를 제외하고 진료가 어렵습니다”는 안내문이 공지됐다. 

현재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정부는 의대정원 확대와 함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를 발표, 향후 5년간 10조원의 건강보험 재정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의협이 그간 요구해온 내용 대부분이 들어가 있다.

정부는 의료계 집단행동을 주도하는 이들을 구속수사하는 등 엄정 대응을 예고했다. 양쪽 간 대치가 이어지면서 ‘장기전’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더불어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들이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해 집단 휴학을 벌이겠다고 밝혔으며 20일까지 누적 8753명의 의대생이 휴학을 신청했다.

현재 전공의 이탈로 인한 업무 부담은 오롯이 교수와 간호사들이 짊어지고 있다. 광주 대형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수 B씨는 파업 이후 전공의들이 해왔던 수술준비, 회진, 수술 후 케어를 도맡다 보니 귀가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서울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8년 차 간호사 A씨는 “전공의 파업으로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무엇보다 중환자의 관리 가중과 환자들의 항의로 인해 스트레스가 매우 크다”고 토로했다.

국민의 건강권 침해는 더 큰 문제다. 서울 대형병원 소아청소년과 앞에는 환아와 보호자들이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지방 역시 마찬가지다. 목포에서 진료를 위해 서울로 올라온 한 환자는 “다음 외래진료일이 신경외과는 3월 6일, 이비인후과는 3월 20일로 예정돼 있었다”며 “그날 CT촬영이 예정돼 있는데 과연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이며 이러한 상황이 왜 발생한 건지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국민의 피해사례 신고건수도 늘고 있다. 21일 오후 6시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신규로 접수된 피해사례는 총 57건으로 ▲수술지연 44건 ▲진료거절 6건 ▲진료예약취소 5건 ▲입원지연은 2건이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